대한제국공사관 유적, 국가사적지 됐다
By i1exxxx Posted: 2024-09-12 10:37:17

▶ 연방 국가사적지 공식 등재
▶“한미 외교 현장 잘 보존”

▶ 자주외교 노력 가치 인정
▶한국 정부 건물로는 처음

 

 

대한제국이 펼친 자주외교 노력이 깃든 공간인 주미대한제국공사관이 미국에서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았다. 국가유산청과 국외소재문화유산재단은 워싱턴 DC에 있는 주미대한제국공사관이 연방정부 국가사적지(NRHP·National Register of Historic Places)로 공식 등재됐다고 11일 밝혔다.

공식 지정 명칭은 ‘옛 대한제국공사관’(Old Korean Legation)이다. 국가사적지는 한국의 국가유산(옛 ‘문화재’)과 유사한 제도로, 보존할 역사적 가치가 우수한 건물, 구조물, 장소 등을 법으로 지정한다. 한국 정부가 소유하고 한국의 역사가 중심이 되는 장소가 미국 국가사적지가 된 건 처음이다.

워싱턴 DC의 한국전쟁 참전용사 기념비가 국가사적지로 등재돼 있으나, 이곳은 한국전쟁에 참전한 미군의 역사를 기리는 의미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립공원관리청 측은 공사관의 역사적 가치를 높게 평가한 것으로 전해졌다.


국가유산청은 “워싱턴 DC에 설치된 한미 외교의 현장으로 미국의 역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장소라는 점이 건물의 핵심 가치로 인정됐다”고 설명했다. 또 “건물의 내·외부 모두 원형 보존 상태가 양호하고, 한국 정부의 주도로 진행된 복원 및 새 단장 공사로 역사적 공간이 훌륭히 재현한 점도 반영됐다”고 덧붙였다.

국가유산청은 공사관을 ‘K-공유유산’의 대표적인 사례로 널리 알린다는 방침이다. 공유유산은 2개 이상의 국가가 역사적·문화적 가치를 공유하는 유산으로, 해외에 있는 한국 관련 유산을 적극적으로 보존·관리·활용하고자 도입한 개념이다.

국가유산청과 재단은 올해 초부터 매월 두 번째 수요일과 토요일에 워싱턴 DC와 메릴랜드주, 버지니아주에 거주하는 동포를 대상으로 순환 버스를 운영하고 있다.

최근에는 민간 기업의 지원을 받아 공사관의 옛 모습을 담은 안내판도 설치했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미국 내 한국 관련 건물로서 미국 연방정부의 국가사적지가 된 것은 최초”라며 “미국의 연방 문화유산으로서의 새로운 법적 지위를 부여받은 것”이라고 강조했다.

주미대한제국공사관은 조선에서 대한제국으로 이어지던 시기 외교 무대의 중심이었다. 1877년 미국 남북전쟁에 참전한 군인 출신 정치인이자 외교관인 세스 펠프스(Seth L. Phelps)의 저택으로 지어진 이 건물은 백악관에서 약 1마일 거리에 있다.

공사관은 우리나라 역사상 최초로 서양 국가에 설치한 외교공관으로 특히 가치가 크다. 1882년 미국과 수호통상조약을 체결한 조선은 1887년 초대 주미전권공사인 박정양(1841∼1905)을 미국에 특파했고, 1889년 2월부터 현재 위치에서 주미공관을 설치했다. 이후 을사늑약으로 외교권을 잃은 1905년까지 약 16년간 이곳에서 외교 활동을 펼쳤다.

정부는 보수·복원공사를 거쳐 2018년 5월 역사전시관으로 개관해 운영 중이다. 19세기 워싱턴 DC에 있었던 30여 개국의 재외공관 가운데 당시 원형을 간직한 채 현재까지 남아있는 건물은 주미대한제국공사관이 유일하다고 국가유산청은 전했다.

 

 

출처 : 미주한국일보

Title View
[공지] 취업 전에 안보면 무조건 후회하는 영상
09/03/2024
[공지] Part-time 게시판 공지사항
02/12/2021
은퇴하려면 저축 146만달러 필요
Talk & Talk
2645
전국 소기업 낙관지수 2012년 12월이후 최저
Current Economy
2759
“세계 경제, 2차대전 이후 가장 위험해질 수도”
Current Economy
2838
금값 연일 급등에 ‘왜 지금?’… 전문가들도 혼란
Current Economy
2555
보잉 787 드림라이너 동체 제조결함 여부 조사
Travel & Food
2659
메타, AI 콘텐츠에 라벨 부착 ‘조작 삭제’ 정책 7월 중단
Talk & Talk
839
7년만의 개기일식… 60억달러 경제효과
Current Economy
3959
공급 쇼크에 유가 급등…“여름엔 100달러 될수도”
Current Economy
791
전기차 시장 ‘빨간불’… 차 업계 줄줄이 ‘속도 조절’
Current Economy
533
직장 다녀도 매년 치솟는 의료보험료 부담에 ‘헉’
Talk & Talk
3850
JP모건 회장 “AI, 증기기관 발명에 비견…산업 지형 바꿀 것”
Current Economy
2763
포브스 “오픈AI CEO 샘 올트먼, 억만장자 대열 합류”
Current Economy
2667
5대 빅테크 ‘현금 5,700억달러 어디쓸까’ 고민
Current Economy
2955
LAX 진입로 또 공사 이번주 교통혼잡 주의
Talk & Talk
2885
‘캘리포니아 엑소더스’… 인구 3,900만 아래로
Talk & Talk
2697
남가주 폭우 뒤 ‘모기 비상령’
Talk & Talk
3024
워싱턴 DC 지나가는 개기일식
Talk & Talk
3267
“하늘서도 감시” 해도 너무한 주택보험업체들
Talk & Talk
2651
📚 책 함께 읽고 이야기 나누는 독서모임, 북챗
Talk & Talk
2829
골프장 티타임 독점 뿌리뽑는다
Talk & Talk
357
오늘 개기일식 ‘들썩’… LA서도 부분일식 관측
Talk & Talk
5165
SK하이닉스, 인디애나에 차세대 HBM공장 신축
Current Economy
2754
NYT “美보험사, 숨은 수수료로 직장보험 환자 부담 키워”
Talk & Talk
388
‘1,000만달러 스톡옵션’ 제안… 오픈A I‘인재 쟁탈전’
Job & Work Life
2704
‘99센트 온리 스토어’… 전국 매장 폐쇄
Talk & Talk
2869
신규 실업수당 청구…22만, 1월 이후 최고
Job & Work Life
4620
급여 줄어도 OK…‘워라벨’(일과 삶의 균형)이 더 중요
Tax & Salary
3387
연준,“금리인상 고려할 상황 올수도”
Current Economy
2537
“빅테크들, AI 학습 데이터 마구잡이 수집”
Talk & Talk
2785
에너지·원자재 등 상품거래수익 사상 최대
Current Economy
2513
3월 고용 30만명 ‘깜짝 증가’… 금리인하 늦춰지나
Job & Work Life
2801
세금보고 마감 일주일…“오류·누락 없어야”
Tax & Salary
2520
연준 간부들 잇달아 금리 인상 가능성 시사(news)
Work in U.S.
2459
99센트 온리 스토어, 너마저..
Talk & Talk
3367
3월 美고용 30만3000명 증가...예상치 크게 상회
Job & Work Life
2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