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양대 항공사인 대한항공(23,150원 ▲ 300 1.31%)과 아시아나항공(9,850원 ▼ 70 -0.71%)의 마일리지 적립 및 활용도가 줄면서 소비자들이 불만을 표시하고 있다. 마일리지는 항공권 발권, 좌석 업그레이드, 제휴사 결제 등에 쓸 수 있다.
18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마일리지 긴급 적립 서비스’를 이달 말까지 운영하고 종료한다. 마일리지 긴급 적립 서비스는 대한항공 제휴카드로 먼저 1만~3만 마일리지를 적립하고, 나중에 카드를 사용하면서 갚는 방식이다. 상환 기간인 1년 안에 먼저 충전한 마일리지를 못 갚으면 1마일당 20원으로 산정해 카드값으로 청구된다. 통상 마일리지 적립률이 1000~1500원당 1마일리지인 것과 비교하면 저렴해 소비자 사이에서 인기를 끌었다.
대한항공 항공기가 인천국제공항 활주로에서 이륙하고 있다./뉴스1
대한항공 관계자는 “긴급 적립 서비스는 이달까지만 운영하고 새로운 마일리지 제휴 상품을 내놓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마일리지 이용처도 줄었다. 대한항공은 지난 6월부터 서울신라호텔, 메리어트, 아쿠아플라넷 제주 등 마일리지 제휴 서비스를 종료했다.
아시아나항공은 마일리지 소비를 장려하기 위해 지난달 온라인 마일리지 쇼핑몰 ‘OZ마일샵’을 열었지만, 쇼핑몰에 있는 50여 개 제휴상품은 대부분 품절 상태다. 일상생활에서 마일리지를 사용할 수 있는 제휴처도 대폭 줄였다. 지난달부터 소노호텔앤리조트, 캐리비안베이, 모두투어, 이마트(62,700원 ▼ 100 -0.16%)(오프라인), KT(42,900원 ▲ 100 0.23%) 기프티쇼 적립 제휴 등이 모두 중단됐다.
연내 소멸 예정 마일리지를 소진하라고 고지받은 이용자들은 불만을 표시하고 있다.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마일리지 쇼핑몰에 쓰는 것도 아까운데, 그것마저 다 품절이다” “10년간 모았는데 어디다 쓰라는 건지 모르겠다. 기한 연장도 안 해준다” “합병을 앞두고 어수선하다. 빨리 터는 게 답” 등의 내용이 올라와 있다.
아시아나 관계자는 “품목 및 수량을 확대해 마일리지 이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개선하겠다”고 전했다.
지난 17일 아시아나항공 마일리지 쇼핑몰 'OZ마일샵'에 있는 상품 대부분이 품절 상태다./OZ마일샵 제공
항공사에 마일리지는 부채로 잡힌다. 6월말 기준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의 사용되지 않은 잔여 마일리지를 금액으로 환산하면 각각 2조5278억원, 9758억원에 달한다. 마일리지가 사라지면 그만큼 부채가 줄어든다.
기업결합을 앞둔 두 항공사는 마일리지 관리 방안을 두고 고심하고 있다. 아시아나항공을 인수할 대한항공 입장에서는 부채가 적은 게 유리하다. 합병 이후 대한항공은 아시아나항공을 2년간 자회사 형태로 운영하는데, 이때 마일리지를 통합 관리하는 절차를 거쳐야 한다. 현재 대한항공 마일리지의 가치가 아시아나항공보다 높아 통합 과정이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대한항공은 아시아나항공과 결합 이후 6개월 안에 통합 마일리지 개편안을 정부에 제출할 계획이다. 앞서 지난 3월에 열린 민생토론회에서 윤석열 대통령은 “국민들의 마일리지 우려를 알고 있다. 단 1마일의 피해도 발생하지 않도록 정부가 철저하게 관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 조선일보
|
||||||||||
Title | View |
취업 전에 안보면 무조건 후회하는 영상
|
09/03/2024 |
Part-time 게시판 공지사항
|
02/12/2021 |
저가항공사 스피릿, 파산보호 신청
Travel & Food
|
380 |
커뮤니티 칼리지, 재정보조 사기 피해 \'눈덩이\'
College Life
|
316 |
인도, 美대학 유학생 출신국서 中 제치고 1위…한국은?
College Life
|
100 |
트럼프 관세 가장 큰 피해자는 미 소비자
Current Economy
|
231 |
대학 졸업생 실업률 급증 8명 중 1명은 ‘백수’
Job & Work Life
|
679 |
에너지 절약 가정에 8천달러 준다
U.S. Life & Tips
|
241 |
\"무보수로 주 80시간 일할 초고지능 인재 찾아요\" 머스크 정부효율부 구인
Job & Work Life
|
725 |
넷플릭스 광고형 멤버십…전 세계 7,000만명 달해
Talk & Talk
|
259 |
소비자 물가 둔화세 멈춰…인플레 우려 다시 고조
Current Economy
|
291 |
주간 신규실업수당 청구 21만7천건…6개월만에 최저
Job & Work Life
|
699 |
10월 도매물가도 둔화세 주춤…인플레 우려 재개
Current Economy
|
235 |
트럼프 취임 앞두고 영주권 문호 전면 동결
Visa,Green Card,Citizenship
|
651 |
데이브 민, 연방 하원의원 당선
Talk & Talk
|
325 |
라스베이거스서 \'한국 문화유산\' 미디어 아트전
Travel & Food
|
294 |
“트럼프팀, 전기차보조금 폐지계획”…韓전기차·배터리도 영향권
Talk & Talk
|
223 |
트럼프 복귀에 불안 “시민권 따자” 급증
Talk & Talk
|
297 |
엔비디아 대항마 AMD 직원 4% 감축…1천명 수준 예상
Job & Work Life
|
716 |
원·달러 환율 1,400원 뚫었다… 뉴노멀된 ‘킹달러’
Current Economy
|
277 |
아마존, 초저가 상품 판매 웹스토어 오픈…테무·쉬인에 ‘맞짱’
Talk & Talk
|
131 |
‘연일 신기록’ 비트코인, 9만3천달러선 돌파 후 반락
Talk & Talk
|
189 |
헤그세스·왈츠·밴스… 중동서 싸운 젊은 참전용사들이 美 이끈다
Talk & Talk
|
163 |
‘트럼프 효과’ 날개 단 가상화폐…‘역대급 상승세’
Current Economy
|
518 |
\"연봉 4억!\" 파운드리 인재 구하는 삼성
Job & Work Life
|
750 |
빅테크들 \"AI 특성에 브랜드 가치를 담아라\"… 아이콘 개발 박차
Talk & Talk
|
536 |
머스크와 \'악연\'… 올트먼, 美 대선 \'최대 패배자\' 될까
Talk & Talk
|
530 |
비트코인, 고공행진 지속…8만4천 달러선 첫 돌파
Current Economy
|
413 |
미 우선주의 한국차 ‘겹악재’… 관세 인상땐 수출차질
Current Economy
|
575 |
신규실업수당 청구 22만건… 전망치 소폭 상회
Job & Work Life
|
783 |
LA 새 랜드마크 \'LACMA\' 준공 눈앞
Travel & Food
|
605 |
IRS, 내년 표준공제·과세소득 기준 발표
Tax & Salary
|
1350 |
[기준금리 인하 배경·전망] 연준 지속적 인하 기조 확인… 인플레 완화 반영
Current Economy
|
582 |
“과거 같은 제로금리 시대 이제 종말”
Current Economy
|
564 |
전국 주의회서도 한인 정치인들 대거 당선 ‘약진’
Talk & Talk
|
609 |
트럼프 “불법이민자 대규모 추방 불가피”
Talk & Talk
|
590 |
대선 후 첫 결정, 美 연준 기준금리 0.25%포인트 인하
Current Economy
|
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