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세로 가격 올라갈 것”
▶ 가전·의류·장난감·가구 등
▶ 소매 업체들 일제히 판촉
▶ 중국산 제품 경쟁적 비축
베스트바이 등 소매 업체들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재집권 후 관세 부과로 제품 가격이 오를 것이 예상된다며 대대적인 판촉활동에 나섰다. [로이터]
“관세 전 세일! 이것은 훈련이 아닙니다”
미국 온라인 가구 소매업체 파이널리 홈 퍼니싱이 페이스북에 올린 글이다. 이 업체는 “관세가 부과되면 지금 보고 계시는 가격은 두 배가 될 것”이라며 판촉에 나섰다.
사장인 시드니 아널드는 “수출 국가가 관세 비용을 부담할 것이라는 오해가 있지만 사실이 아니다”며 가격 인상으로 결국 소비자에게 전가될 것이라고 했다.
이 업체뿐만 아니라 야외용품, 뷰티 제품 등을 판매하는 곳들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이 제시한 관세로 가격이 오르기 전에 지금 당장 구매하라는 마케팅에 나서고 있다고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앞서 전미소매협회(NFR)는 이달 초 의류, 장난감, 가구, 가전, 신발, 여행용품 등 6개 품목에 대해 관세가 부과될 경우 가격이 대부분 두 자릿수 이상 인상될 것이라는 분석 결과를 내놨다.
현재 이들 품목의 관세율은 대부분 한 자릿수이거나 10%대 초반인데 보편적 관세 10~20%와 중국산 수입품 관세 60~100%가 적용되면 평균 관세율이 50%를 넘게 된다면서 이러한 결과를 제시했다.
최근 트럼프 당선인은 내년 1월 취임 당일 중국에 추가 관세에 더해 10%의 관세를 더 부과하고, 멕시코와 캐나다에는 각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관세가 최종적으로 어떻게 부과되고 또 가격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지 불분명하지만, 기업들은 소비 지출이 위축될 것으로 우려한다.
베스트바이는 가전 제품에 대한 수요 감소를 경고했고, 대형 유통업체 콜스와 타깃은 최근 분기에 의류 판매가 감소했다고 밝혔다.
특히 중소 업체들은 물가 상승으로 인해 샤핑객들이 지출을 줄이고 제품 구매 시 더 신중하게 선택할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뷰티 브랜드 졸리 스틴은 최근 고객들에게 보낸 이메일에 관세로 가격이 오르기 전에 “지금 가격을 고정하라”고 판촉했다. 이 브랜드의 주력 제품인 필터가 들어간 수전 가격이 관세 부과 시 25% 오를 것이라며 구매를 서두르라는 것이다.
스포츠용품 소매업체인 타르프텐은 일부 텐트를 최대 35% 할인하는 블랙프라이데이 세일을 홍보하는 페이스북 게시물에 “내년 이맘때까지 제공할 수 있는 최고의 할인 가격이며 관세가 부과될 가능성이 있는 만큼 그보다 훨씬 더 오랫동안 최고의 가격이 될 수 있다”고 적었다.
아시아에서 생산된 부품을 수입하는 업체들로부터 많은 재료를 공급받는 맞춤형 낚싯대 제조업체인 J&J 스포츠 서비스의 사장 조 오노라토 역시 이달 11일 페이스북에 “지금 구매하세요…관세가 농담이 아닙니다”라며 가능한 한 오래 버티겠지만 이게 마지막 ‘세일’이 될 수 있다고 확신할 수 있다고 홍보했다.
온라인에서 맞춤형 디자인 스티커 등을 판매하는 아티스트 앤서니 루이즈는 가격 인상을 피하기 위해 내년 1월 이전에 중국에 있는 제조업체로부터 더 많은 물량을 주문해 재고를 쌓아둘 계획이다. 틱톡에서 활동하는 일부 인플루언서들도 좋아하는 제품을 지금 대량으로 사놓으라며 관세 열풍에 편승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WSJ은 전했다.
‘트럼프 관세’를 앞두고 중국산 제품을 비축하려는 움직임도 빨라져 중국에서 출발하는 국제 화물 항공편 수가 기록적 수준으로 증가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이날 전했다.
블룸버그가 인용한 중국 교통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주 중국에 오가는 국제 화물 항공편 수는 3,485편에 달해 중국이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국경 통제를 해제한 2023년 3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출처 : 미주한국일보
|
||||||||||
Title | View |
취업 전에 안보면 무조건 후회하는 영상
|
09/03/2024 |
Part-time 게시판 공지사항
|
02/12/2021 |
전국 계란 가격 폭등…수요 증가·조류독감 탓
Travel & Food
|
2795 |
다시 오르는 개솔린 가격… 5달러 육박
Talk & Talk
|
2399 |
모기지 금리 계속 하락…30년 고정 평균 6.84%
Talk & Talk
|
2167 |
“리스 예외조항 이용, IRA 보조금 지급”
Talk & Talk
|
1980 |
“미국인들도 팁 지겹다… 생각보다 야박”
Talk & Talk
|
2390 |
‘주4일 근무’ 연방 법안…샌더스 발의, 공화 반대
Job & Work Life
|
2434 |
“월급으론 부족한데 이참에 자판기 부업이나 할까”
Job & Work Life
|
1933 |
“집 팔때 내는 중계수수료 절반으로 줄어든다”
Talk & Talk
|
2002 |
광장시장서 만둣국 먹고, 한복 입고… MLB 스타들 서울나들이
Talk & Talk
|
1918 |
美는 왜 삼성에 예상치 3배인 8조 쐈나... 거세진 반도체 패권 ‘쩐의 전쟁’
Talk & Talk
|
1785 |
달러샵부터 맥도날드까지… 저소득층 소비력 감소 ‘고심’
Talk & Talk
|
1835 |
부산, LA 항만과 물류사업 추진
Talk & Talk
|
1928 |
“조선·해운산업, 미중 무역전쟁의 새 전쟁터 부상”
Job & Work Life
|
465 |
“LA로 오세요”… 한국서 ‘할리웃 품은 LA’ 홍보 나선다
Travel & Food
|
318 |
틱톡, ‘금지법안’ 전혀 대비못해… 500만 사업자들 ‘조마조마’
Talk & Talk
|
325 |
글로벌 기업 배당 최대 작년 1조6천억, 5.7% ↑
Talk & Talk
|
202 |
고금리에 연방정부 이자부담 ‘눈덩이’
Talk & Talk
|
228 |
테크 신생기업들 긴축… 고용·주식보상 축소
Job & Work Life
|
938 |
‘품질 논란’ 보잉 인도 지연에 발 묶인 항공사
Travel & Food
|
301 |
바이든, 일본제철의 US스틸 인수 공개 반대 “美기업으로 남아야”
Talk & Talk
|
1902 |
패스트푸드 최저임금 인상 임박 “가격 요동 우려”
Job & Work Life
|
1946 |
에어비앤비, 내달 30일부터 실내 감시카메라 설치 금지
Travel & Food
|
1906 |
웨이모 LA서 로보택시 상용화…14일부터 2주간 무료로
Talk & Talk
|
2162 |
백신 기피 또 확산…이번엔 홍역
Talk & Talk
|
2032 |
학생 빚 덜어주려 대학들 나섰다…‘무대출’ 재정 보조 정책 도입
College Life
|
1705 |
유학생 도움받던 캐시잡 사라진다
Job & Work Life
|
2370 |
한국식 산후조리 전국서 열풍…LA지역 “7월까지 예약 꽉차”
Talk & Talk
|
1774 |
웃돈 붙던 전기차 1만불까지 할인
Talk & Talk
|
1858 |
‘시민권자도 내국인 입국대’ 안내 강화
Travel & Food
|
1705 |
2월 소비자물가 3.2% 올라… 예상치 초과
Talk & Talk
|
1059 |
인플레·고금리 그늘… 주택, 작아지고 저렴해졌다
Talk & Talk
|
346 |
“손해봐도 할 수 없다”… 생활고 401(k) 조기인출 급증
Talk & Talk
|
2046 |
“기독교 유튜버라고 해고”… 삼성 피소
Job & Work Life
|
1912 |
제주산 감귤 가공품 월마트에 상륙 전망…선키스트 브랜드로 시판
Travel & Food
|
1967 |
4년 전보다 80% 더 벌어야 집 장만…높은 모기지·신축 감소 영향
Talk & Talk
|
179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