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월대비 상승률 0.5%로 1년5개월만에 최대…근원지수 상승률도 3.3% 정체
▶ 인플레 우려 재개에 美 국채금리 급등…주가↓·달러화↑
지난 1월 미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에너지 가격 강세에 '깜짝 상승'을 나타내며 7개월 만에 다시 3%대로 올라섰다.
미국의 경제가 견조한 성장세를 지속하는 가운데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예상을 크게 벗어나 상승하면서 인플레이션 우려가 다시 커질 전망이다.
미 노동부는 1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 대비 3.0% 상승했다고 12일(현지시간) 밝혔다. 전월과 비교해선 0.5% 상승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대로 다시 올라선 것은 지난해 6월(3.0%) 이후 7개월 만에 처음이다.
물가의 최근 동향을 반영하는 전월 대비 상승률도 2023년 8월(0.5%) 이후 1년 5개월 만에 가장 컸다.
에너지 가격이 전월 대비 1.1% 올라 1월 물가 상승을 주도했다. 휘발유 가격은 전년과 비교해선 0.2% 내렸지만 전월 대비로는 1.8% 상승했다.
식품 가격도 1월 중 전월 대비 0.4% 상승해 물가 상승에 기여했다.
특히 조류 인플루엔자 확산 여파로 계란 가격이 전월 대비 15.2% 오르며 급등세를 지속했다. 이 같은 계란 가격 상승세는 2015년 6월 이후 가장 높았다고 노동부는 설명했다.
주거비는 전월 대비 0.4% 상승해 전체 월간 상승률의 약 30%에 기여했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식품을 제외한 근원 CPI는 전년 동월 대비 3.3%, 전월 대비 0.4% 각각 상승했다.
근원지수 상승률은 지난해 하반기 이후 3.2∼3.3% 수준에서 정체된 모습을 지속하고 있다.
근원지수는 대표지수에서 단기 변동성이 큰 에너지와 식료품 가격을 제외한 지표로, 물가의 기조적인 흐름을 상대적으로 더 잘 반영한다고 여겨진다.
인플레이션 지표가 예상 밖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면서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올해 들어 금리 인하를 사실상 중단하는 것 아니냐는 기대에 더욱 무게가 실릴 전망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핵심 정책인 관세정책과 감세, 이민자 정책이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가 지속되고 있는 것도 이런 관측에 힘을 실고 있다.
이날 소비자물가 대표지수와 근원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및 전월 대비 상승률이 각각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를 0.1∼0.2%포인트 웃돌았다.
이날 소비자물가 지표가 깜짝 상승을 기록하면서 채권 수익률을 급등했다.
전자거래 플랫폼 트레이드웹에 따르면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이날 오전 9시 15분(미 동부시간) 기준 4.65%로 전날 뉴욕증시 마감 무렵 대비 11bp(1bp=0.01%포인트) 올랐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금리 선물시장은 오는 5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도 연준이 기준금리를 현 4.25∼4.50%로 동결할 확률을 88%로 반영했다. 이는 전날보다 10%포인트 오른 수치다.
뉴욕증시 정규장 개장 전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 선물은 소비자물가 지표 발표 후 급락하며 전장 대비 1%대 약세를 나타냈다.
달러화 가치도 급등했다.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화의 가치를 반영한 달러화 인덱스는 같은 시간 108.4로 전장 대비 0.4% 상승했다.
출처 : 미주한국일보
|
||||||||||
Title | View |
취업 전에 안보면 무조건 후회하는 영상
|
09/03/2024 |
Part-time 게시판 공지사항
|
02/12/2021 |
고용 소폭 증가에도 실업률 4.1%로 상승
Job & Work Life
|
164 |
현대차그룹, 조지아 ‘메타플랜트 아메리카’ 준공
Current Economy
|
74 |
중국산 저가 ‘밀어내기’ 공습에… 세계 경제 ‘신음’
Current Economy
|
93 |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 22만4천건…전망 소폭 하회
Job & Work Life
|
111 |
외국산 자동차 구입 시 5,000달러 추가 부담
Talk & Talk
|
61 |
우버, 리프트가 임금 착취
Job & Work Life
|
94 |
LA카운티 \'사형\' 부활된다
Talk & Talk
|
58 |
4월2일부터 외국산 자동차 25% 관세
Current Economy
|
94 |
관세전쟁에 화물운임 추락… 항공·해운 ‘초비상’
Current Economy
|
156 |
BYD, 작년 매출 1000억달러 돌파… 테슬라 제쳤다
Current Economy
|
147 |
K푸드의 영토 확장… 모리셔스 신혼여행객도 빼빼로 찾는다
Current Economy
|
104 |
안에선 규제, 밖은 트럼프 압박… K제조업, 美에 150조원 투자한다
Current Economy
|
225 |
美 주요기업 재무책임자 다수, 올해 하반기 이후 침체 예상
Current Economy
|
520 |
주택소유주 34% “집 절대 안 팔아”
Current Economy
|
523 |
트럼프 관세에 美소비자 기대지수 12년만에 최저…침체우려 확대
Current Economy
|
516 |
AI 경쟁서 이기려면 회사 출근, 주 60시간 일해야
Job & Work Life
|
596 |
현대차, 美에 30조원 투자… 트럼프 \"위대한 회사, 美서 만들면 관세 없어\"
Current Economy
|
518 |
IRS 고강도 구조조정 감원… ‘세금환급 지연되나’
Tax & Salary
|
789 |
경제 엄습하는 ‘R’ 의 공포… 소비자가 대처하는 방법
Current Economy
|
633 |
가주 개솔린세 폐지되나… ‘도로통행료\' 검토
Talk & Talk
|
556 |
3분의1 ‘실직 불안’ 젊은층은 생계 걱정
Job & Work Life
|
908 |
뉴욕 연은 총재 “장기 인플레 기대 안정…물가 충격 감소 기대”
Current Economy
|
858 |
아프리카 백인 여성이 올림픽 이끈다... IOC 역사상 처음
Talk & Talk
|
926 |
美 특허만료 블록버스터 쏟아져… K바이오, 38조 시장 도전
Talk & Talk
|
932 |
\"내 노래가 6년 먼저\" 주장… 머라이어 캐리 캐럴 표절 소송 결말은
Talk & Talk
|
851 |
세계 2위 英히스로 공항, 정전으로 전면 폐쇄...수십만명 대혼란
Travel & Food
|
840 |
핸드폰, SNS까지 뒤진다…美입국금지 급증에 여행객 불안감 커져
Talk & Talk
|
491 |
‘가장 행복한 국가’… 핀란드 8년째 1위
Talk & Talk
|
491 |
“연방 교육부 해체하라” 트럼프 행정명령 서명
Talk & Talk
|
535 |
합법비자 소유 학자 또 이민당국에 체포
Talk & Talk
|
473 |
“IRS, 불체 납세자 정보 이민당국에 넘긴다”
Visa,Green Card,Citizenship
|
870 |
휴대폰에 트럼프 비판문자 있다고…佛과학자 美 입국 거부당해
Talk & Talk
|
618 |
캘리포니아 관광청 봄 여행캠페인 시작
Travel & Food
|
714 |
대서양 술 전쟁… 와인·위스키가 최전선에
Current Economy
|
159 |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 22만3천건…전망 소폭 하회
Job & Work Life
|
1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