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물가 3% ‘깜짝 상승’ … 금리인하 ‘희박’
By nc8xxxx Posted: 2025-02-13 11:49:15

▶ 지난해 6월 이후 최고치
▶ 전월대비 상승률도 0.5%

▶ 에너지와 계란 등 식품↑
▶ 금리, 3월·5월 ‘동결’ 전망

 

지난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에너지와 식품 가격 강세 등에 7개월 만에 다시 3%대로 올라섰다. [로이터]

 

 

지난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에너지 가격 강세에 ‘깜짝 상승’을 나타내며 7개월 만에 다시 3%대로 올라섰다.

미국 경제가 견조한 성장세를 지속하는 가운데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예상을 크게 벗어나 상승하면서 인플레이션 우려가 다시 커질 전망이다.

연방 노동부는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 대비 3.0% 상승했다고 12일 밝혔다. 전월과 비교해선 0.5% 상승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대로 다시 올라선 것은 지난해 6월(3.0%) 이후 7개월 만에 처음이다.

물가의 최근 동향을 반영하는 전월 대비 상승률도 2023년 8월(0.5%) 이후 1년 5개월 만에 가장 컸다.

에너지 가격이 전월 대비 1.1% 올라 1월 물가 상승을 주도했다. 개솔린 가격은 전년과 비교해선 0.2% 내렸지만 전월 대비로는 1.8% 상승했다.

식품 가격도 1월 중 전월 대비 0.4% 상승해 물가 상승에 기여했다. 특히 조류 인플루엔자 확산 여파로 계란 가격이 전월 대비 15.2% 오르며 급등세를 지속했다. 이 같은 계란 가격 상승세는 2015년 6월 이후 가장 높았다고 노동부는 설명했다.

주거비는 전월 대비 0.4% 상승해 전체 월간 상승률의 약 30%에 기여했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식품을 제외한 근원 CPI는 전년 동월 대비 3.3%, 전월 대비 0.4% 각각 상승했다.

근원지수 상승률은 지난해 하반기 이후 3.2∼3.3% 수준에서 정체된 모습을 지속하고 있다. 근원지수는 대표지수에서 단기 변동성이 큰 에너지와 식료품 가격을 제외한 지표로, 물가의 기조적인 흐름을 상대적으로 더 잘 반영한다고 여겨진다.

인플레이션 지표가 예상 밖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면서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FRB·연준)가 올해 들어 금리 인하를 사실상 중단하는 것 아니냐는 기대에 더욱 무게가 실릴 전망이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핵심 정책인 관세정책과 감세, 이민자 정책이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가 지속되고 있는 것도 이런 관측에 힘을 실고 있다.

이날 소비자물가 대표지수와 근원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및 전월 대비 상승률이 각각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를 0.1∼0.2%포인트 웃돌았다.

예상을 넘어선 물가지표에 인플레이션 반등 우려가 커지면서 시장에선 채권 금리가 올라가고, 증시는 하방 압력을 받았다.

전자거래 플랫폼 트레이드웹에 따르면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이날 뉴욕증시 마감 무렵 4.63%로, 전 거래일 같은 시간 대비 9bp(1bp=0.01%포인트) 올랐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금리 선물시장은 오는 5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도 연준이 기준금리를 현 4.25∼4.50%로 동결할 확률을 88%로 반영했다. 이는 전날보다 10%포인트 오른 수치다. 월가는 앞선 오는 3월 FOMC에서도 금리 동결 가능성이 확신하고 잇다.

금리 선물시장은 연준이 연내 기준금리를 현 수준에서 동결하거나 한 차례만 인하할 확률을 69%로 반영했다. 이는 하루 전의 57%보다 크게 오른 수치다.

뉴욕증시 정규장 개장 전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 선물은 소비자물가 지표 발표 후 급락하며 전장 대비 1%대 약세를 나타냈다.

달러화 가치도 급등했다.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화의 가치를 반영한 달러화 인덱스는 같은 시간 108.4로 전장 대비 0.4% 상승했다.

이날 뉴욕증시도 소비자물가 상승률 급등에 충격을 보이면서 하락했다. 다우 지수는 전장보다 225.09포인트(-0.50%) 내린 44,368.56에 거래를 마쳤다. 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16.53포인트(-0.27%) 내린 6,051.97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6.09포인트(0.03%) 오른 19,649.95에 보합권으로 마감했다.

 

 

 

출처 : 미주한국일보

 

Title View
[공지] 취업 전에 안보면 무조건 후회하는 영상
09/03/2024
[공지] Part-time 게시판 공지사항
02/12/2021
5월 7일부터 리얼ID법 시행… 꼭 필요하진 않아
Travel & Food
96
AI 툴로 아마존 코딩시험 통과 한인 명문대생 결국 \'중퇴\'
College Life
105
트럼프 3대 오판… 시장·물가·중국이 반대로 갔다
Current Economy
40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 일주일 새 70원 가까이 \'널뛰기\'
Current Economy
57
이정후, 팀 새 역사 썼다…\"양키스 상대 멀티홈런 친 첫 자이언츠 선수\"
Talk & Talk
62
‘올해 4회 이상 내려야’ vs ‘금리 다시 올려야’
Current Economy
139
프라다, 베르사체 인수 LVMH·케링과 본격 경쟁
Talk & Talk
99
‘에어프레미아 불안’… 항공기 부족 구조적 문제
Travel & Food
123
3월 소비자 물가 상승세… 4년 만에 최저
Current Economy
134
신규 실업수당 22만3,000건… 4,000건 늘어
Job & Work Life
254
트럼프 행정부 무차별 이민자 추방 ‘일시 제동’
Talk & Talk
148
물러설 뜻 없는 시진핑 \"기댄 적 없으니 때려도 안 무섭다\"
Current Economy
94
中, 美에 재보복... 오늘부터 관세 84%→125%로 상향
Current Economy
70
아마존 등 온라인 상품가격도 대폭 상승
Current Economy
119
소비자심리지수 3개월째 급락… 소비 ‘빨간불’
Current Economy
122
BMW, 관세 부담에 美 현지생산 확대 검토
Current Economy
96
기록적 폭등 뉴욕증시 하루만에 3대지수 동반 급락세
Current Economy
74
유럽 유니버설스튜디오 런던 인근에 들어선다
Travel & Food
76
‘가짜 학생’ 지원금 수백만불 샌다
College Life
100
세금보고 LA카운티는 6개월 연장 가능
Tax & Salary
169
불체 납세자 정보 이민국 넘긴다
Talk & Talk
82
한인 유학생들도 비자 취소 속출… ‘추방 공포’
College Life
117
백악관 “중국에 대한 합계 관세 125%가 아닌 145%”
Current Economy
66
SK하이닉스, D램 점유율 \'세계 1위\'… 삼성전자 첫 추월
Current Economy
125
\"통관 취소... 상하이港의 미국행 화물선박이 거의 사라졌다\"
Current Economy
67
트럼프 \"中 관세 125%로 더 올려... 다른 국가는 90일간 유예\"
Current Economy
60
트럼프 관세 유예 조치에 뉴욕증시 폭등, 나스닥 12% 이상 상승
Current Economy
37
트럼프 \"중국 제외하고 모든 국가에 관세 90일간 유예\"
Current Economy
91
“모든 컴퓨터에 윈도·오피스… 세계 최대 SW(소프트웨어) 기업”
Talk & Talk
49
법대-스탠포드·공학-MIT
College Life
92
한국 미술 거장들 LA서 모두 만난다
Talk & Talk
54
원 달러 환율 또 천장 뚫렸다...16년래 최고
Current Economy
65
머스크 \"벽돌보다 멍청\" 나바로 \"車 조립업자\"... 트럼프 측근들 관세 충돌
Current Economy
39
EU, 15일부터 오토바이 등 美상품 일부에 25% 보복관세 부과
Current Economy
35
中, 50% 추가관세 맞보복... \"모든 미국산 수입품 34→84%\"
Current Economy
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