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맞을래, 공장 지을래”… 해외기업들 미국행
By nw4xxxx Posted: 2025-02-19 11:06:11

▶ ‘무역 무기화’ 트럼프 압박
▶ 대미투자 급증, 역대 최고

▶ 현대·삼성·포스코·농심 등
▶ 한국기업들도 ‘발등의 불’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무차별적 관세 부과 정책에 한국 등 세계 기업들의 미국 투자도 늘고 있다. [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압박’에 한국 기업들의 미국 진출도 잇따르고 있다. 비싼 땅값에 높은 인건비는 부담이지만, 관세 폭탄을 맞느니 현지 생산시설을 구축하는 편이 낫다는 현실 인식이 작용한 것이다.

이전 바이든 정부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이나 ’반도체 칩과 과학법’(CHIPS)‘ 등에 따른 거액의 보조금 혜택을 통해 투자를 이끌었다면, 트럼프는 ’관세‘를 무기로 기업들의 선택을 강요하고 있는 모습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과 동시에 주요 교역국에 대한 강경한 ’관세 부과‘ 조치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 4일부터 모든 중국 상품에 대한 ’10%‘ 추가 관세 부과 조치를 시행했다. 캐나다·멕시코에 부과하기로 했던 25% 신규 관세는 한 달 유예했지만, 협상 여하에 따라 강행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내달 12일부터는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25%‘ 관세 부과 조치도 시행될 예정이다. 그동안 무관세 쿼터 방식으로 대미 수출을 해 온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다.

4월 초에는 국가별 ’맞춤형‘ 상호 관세 부과도 예고했다. 상호 관세 부과 시 상대국의 관세뿐만 아니라 ’비관세장벽‘까지 포함하겠다고 함에 따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으로 대부분 관세를 철폐한 한국도 사정권에 들었다.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가 자회사인 ’FDI 프로젝트‘가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전 세계 그린필드 FDI 프로젝트 가운데 미국을 대상으로 한 프로젝트의 비율이 2023년 11.6%에서 지난해 1~11월 14.3%로 증가했다. 이는 집계를 시작한 2003년 이래 최고치라고 FT는 설명했다. 그린필드 FDI 프로젝트는 기업이 외국에서 새로운 시설과 운영을 구축하거나 확장하는 투자를 말한다.

’관세 폭탄‘을 피하기 위한 한국 기업들의 미국행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17일 철강업계 등에 따르면 현대제철은 미국에 처음으로 쇳물을 생산하는 해외 제철소를 짓기로 했다. 현대제철이 ’쇳물 생산‘을 해외에서 생산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세아그룹은 텍사스주에 연산 6,000톤 규모의 특수합금 공장을 추진 중이다. 지난달 세아창원특수강의 미국 법인은 1억855만달러 규모의 투자를 결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포스코도 미국 현지에 상공정 투자를 검토하고 있다. 상공정은 고로 또는 전기로를 통해 철광석을 녹여 쇳물을 만드는 과정이다.

다양한 산업군의 미국 시장 진출도 활발하다. 풀무원은 캘리포니아와 매사추세츠에 각각 두 곳의 공장을 운영 중인데, 올해 완공을 목표로 생산라인 증설에 들어갔다.

미국 내 수요 증가에 대응하고, 100% 현지 생산 체제를 구축한다는 목표다. 오뚜기는 캘리포니아주에 새로운 생산 공장 설립을, 농심은 로스앤젤레스에 가동 중인 두 곳의 공장에 더해 추가 공장 설립을 검토 중이다.

삼성전자는 2030년까지 텍사스주 테일러시에 170억달러를 들여 4나노 파운드리 공장을 건설 중에 있다. SK하이닉스도 인디애나주에 8억7,000만달러를 투자해 고대역폭 메모리(HBM) 생산시설을 건설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애리조나주 퀸크릭에 원통형 배터리 및 ESS 전용 공장을 건설 중으로, 2026년 가동 예정이다.

 

 

 

출처 : 미주한국일보

 

Title View
[공지] 취업 전에 안보면 무조건 후회하는 영상
09/03/2024
[공지] Part-time 게시판 공지사항
02/12/2021
트럼프 “3∼4주내로 관세협상 끝내고 어느 시점에 그냥 정할 것” New
Talk & Talk
56
FBI “불법체류자 도주 도왔다”며 법원서 현직 판사 체포 New
Talk & Talk
43
美당국, 임의삭제한 외국인 유학생 수천 명 신원자료 복구키로 New
College Life
41
항공업계 트럼프 유탄…미국여행 급감하자 티켓값 인하 New
Travel & Food
52
뉴욕증시, 최악은 지났다는 안도감…나흘째 강세 마감 New
Current Economy
56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 22만2천건…전망치 소폭 상회 New
Job & Work Life
139
새 명문대 ‘뉴 아이비’ 20곳 선정 New
College Life
110
\"2025년 교황 죽는다, 후임은 검은 피부\" 노스트라다무스의 예언 New
Talk & Talk
89
\"과체중 승객은 자리 2개 가격 내라\"…항공권 가격 논쟁 부른 이 사진 New
Travel & Food
74
머스크·재무장관, 트럼프 앞에서 욕설 설전… \"프로레슬러처럼 싸웠다\" New
Talk & Talk
89
‘달러 패권’ 내려놓으면 무역 흑자?… 그 끝엔 ‘불황’
Current Economy
125
“美소매업체, 트럼프에 ‘매장 텅텅빈다’ 경고…이후 정책 유턴”
Current Economy
66
IMF \"미국발 관세전쟁은 제로섬 세계관\"
Current Economy
82
트럼프 폭주 제어… 월가 안심시키는 베선트
Current Economy
53
대학서 돈·시간 낭비 말고 \'팔란티어 학위\'를 따라
Job & Work Life
161
금 현물가격 온스 당 3,400달러 돌파
Current Economy
119
‘드림팩토리’ 가동한 LG이노텍 “인력·시간 90% 절감”
Current Economy
147
구글, 국가 별 도메인 ‘구글닷컴’으로 통합
Talk & Talk
113
“보험 카르텔의 ‘페어플랜(FAIR Plan)’ 가입 강요에 재정피해”
Talk & Talk
120
IMF, 올 세계 경제성장률 3.3%→2.8%로…한국도 2%→1%로 낮춰
Current Economy
72
비트코인, 46일만에 9만달러선 회복…美 기술주와 디커플링 조짐
Current Economy
60
“아이 낳으면 5천달러 준다고?”
Talk & Talk
69
가주 공무원, 휴가 안 썼다고 받은 수당이 120만불
Job & Work Life
179
미 대사관 또 비자관련 경고 “ESTA 신청서 사실대로 써라”
Travel & Food
47
3월 고용 23만명 증가… 실업률은 4.2% 상승
Job & Work Life
199
금값 3,400달러 첫 돌파…골드만삭스 “내년 4,000달러 가능성”
Current Economy
99
달러 가치 3년만에 최저… ‘파월 때리기’에 글로벌자금 美 탈출
Current Economy
163
뉴욕증시, 파월 때리기에 ‘셀 USA’ 가속…급락 마감
Current Economy
79
美법무부 “크롬매각이 최선” vs 구글 “中에 맞서려면 분할 안돼”
Current Economy
93
하버드대 “지원금 중단은 위법”…트럼프 정부 상대 소송
College Life
57
펠그랜트 지속될까… 불안한 저소득층 대학생들
College Life
67
“말 안 들을 거면 나가”…무더기 해고에 공무원 선호도 떨어지는 美
Job & Work Life
106
중국이 \'관세 전쟁\'에서 미국을 이길 수 없는 세 가지 이유
Current Economy
105
애들 두고 안 떠난다… \'리투아니아 실종\' 미군 수색했던 일주일
Talk & Talk
75
中, 도색까지 마친 보잉機 돌려보냈다... 美 관세 보복에 응수
Talk & Talk
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