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편부터 군사까지… ‘정부 민영화’ 밀어붙이는 머스크
By 92dxxxx Posted: 2025-04-01 10:42:42

▶ “가능한 모든 것 민영화해야”
▶ 정부 부동산 기업 매각 추진

▶ 군사용병 활용·우편 외주화도
▶ “공공서비스 손상” 부작용 우려

 

 

정부효율부(DOGE) 수장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백악관 대통령 집무실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말을 듣고 있다. [로이터]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정부효율부(DOGE)를 맡아 직원 해고와 조직 축소에 앞장서고 있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광범위한 정부 기능의 민영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곳곳에서 터져나오는 우려에도 트럼프 대통령의 신임을 등에 업은 머스크의 행보는 거침이 없다.

워싱턴포스트(WP)는 지난달 30일 “머스크의 DOGE는 나무를 베고 불을 지르듯 관료제의 규모와 권한을 초토화하면서 정부 기능을 민간 부문으로 전환해 가고 있다”며 “이는 기업이 정부보다 비용을 절감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뛰어나다는 보수 이론을 현실 세계에 적용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최근 머스크의 행보가 점점 뚜렷하게 ‘민영화’에 초점을 맞춰가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머스크는 최근 “가능한 모든 것을 민영화해야 한다”고 발언하기도 했다.

범위는 자산부터 서비스, 보조금까지 다양하다. 대표적으로 최근 DOGE와 손을 잡은 총무청은 국가나 공공기관 소유 부동산 수백 개를 민간 기업에 매각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건물을 소유하는 것보다 임차해 사용하는 것이 ‘이론적으로는’ 유지관리 비용을 아낄 수 있는 길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국가의 전유물로 여겨지던 군사 및 국방 서비스도 일정 부분 민영화가 검토되고 있다. 최근엔 민간 군사기업 ‘블랙워터’ 창립자 에릭 프린스가 최근 미국 국방부에 자주 출몰할 뿐 아니라 백악관 국가안보회의와 국토안보부 등의 고위 관료들이 참여하고 있는 그룹 채팅방에도 포함돼 있다는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CNN은 “불법 이민자 구금 등 국내 이슈를 넘어 예멘 후티 반군 공습과 같은 군사작전에도 민간군사, 즉 용병을 활용하라는 제안이 프린스에게서 나왔다”고 전했다.

DOGE는 우편 서비스 민영화도 시도했지만 내부 반발과 법적 장벽에 부딪혀 제대로 실행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부분 민영화 가능성은 남아있다. WP는 “수익성 없는 우체국을 정리하고 우편 및 소포 업무를 단계적으로 외주화하며 장거리 운송 경로는 외부에 위탁하려는 시도가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급진적인 민영화는 부작용이 클 수밖에 없다. 이론적으로는 민간기업이 국가보다 더 낮은 비용으로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지만, 소수의 소유주만 부유하게 만들면서 부패와 경영실패로 이어지는 경우도 많기 때문이다. WP는 “1980년대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 때부터 이어져 온 민영화 시도가 번번이 실패한 이유는 의회가 반대했기 때문”이라며 “미국인 수백만 명이 의존하는 서비스를 손상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민영화하더라도 정부 지출이 크게 감소하지 않을 것이라는 예측도 나온다. 제이슨 퍼먼 하버드대 교수는 WP에 “(정부 민영화는) 거시경제적 관점에서 보면 정부 지출이나 경제 성장에 큰 변화는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당분간은 정부 기관에 최소한의 기능만 남겨두는 방식으로 DOGE의 구조조정이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밥 호켓 코넬대 법학과 교수는 “그들은 주주가 기업을 통제하는 것처럼 정부를 빠르게 바꾸고 있다”며 “다만 그들이 깨닫지 못하는 것이 있는데, 공공 부문의 핵심은 주주의 이익이나 수요에 제약을 받지 않고 사람이 사는 데 필수적인 재화를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출처 : 미주한국일보

 

Title View
[공지] 취업 전에 안보면 무조건 후회하는 영상
09/03/2024
[공지] Part-time 게시판 공지사항
02/12/2021
3월 고용 22만8천명 ‘깜짝 증가’…실업률은 4.2%로 상승
Job & Work Life
64
\"초등 산수 수준\"... 트럼프식 상호 관세 계산법에 경제학계 조롱 쏟아져
Current Economy
59
2주 이상 실업수당 청구 3년 4개월 만에 최대…고용냉각 우려
Job & Work Life
98
[美관세폭풍] “트럼프 취임 10주만에 美 19세기로 돌아가”
Current Economy
99
“운전 중 셀폰 사용 꼼짝마”… 4월 중 집중단속
U.S. Life & Tips
90
[美관세폭풍] 유럽 “경제에 재앙”…각국 대응책 고심
Current Economy
88
美정부 지난달 21만여명 감원…관세 영향도 민간 일자리에 타격
Job & Work Life
88
일본어도 영어도 아닌 \'지브리\'
Talk & Talk
88
트럼프는 왜 \'관세 폭탄\' 투척하며 민주당 상징 루스벨트 소환했나
Current Economy
89
관세 월권 논란 사전 차단? 트럼프가 들이민 2가지 법
Current Economy
37
美 증시, 관세 쇼크로 폭락 출발…\"공포의 냄새 감돌아\"
Current Economy
38
호주는 10%인데...美 FTA 국가 중 한국이 최고 관세인 이유
Current Economy
44
2월 물가 예상 상회… 경기둔화 우려
Current Economy
67
ADP “3월 민간고용 15만5천명 증가”…전망치 상회
Job & Work Life
87
불확실성에 빠진 미국… 주식↓ 채권은↑
Current Economy
135
‘달걀대란’ 이어 ‘휴지대란’까지 오나
Current Economy
88
트럼프, 오늘 ‘상호관세’ 발표
Current Economy
68
트럼프 관세·탄핵 정국에… 환율 1,500원 돌파하나
Current Economy
57
위스콘신 대법관 선거서 머스크 지지 후보 패배…트럼프 타격
Talk & Talk
46
공화, 연방하원의원 보선서 2곳 다 승리…의석수 220 對 213석
Talk & Talk
41
미국도 관세 충격… “최악땐 펜실베니아 GDP만큼 날린다”
Current Economy
51
보건부 대량 감원 개시 해고사실 모르고 출근도
Job & Work Life
80
명문대 합격률 작년보다 높아졌다
College Life
43
LA-인천 비즈니스석 구하기 어려워진다
Travel & Food
56
프린스턴大도 지원금 중단… 아이비리그 4번째
Talk & Talk
44
저커버그, 트럼프에 대선 지지 \'청구서\'
Talk & Talk
27
\"트럼프, 로마 황제 같다\" 비판했다고…노벨상 수상자 美비자 취소
Talk & Talk
30
“왜 이리 느리지”… ‘지브리 프사’ 인기에 몸살 난 챗GPT
Talk & Talk
54
美과학자 1900명 \"국가 연구 역량 트럼프가 훼손\"
Talk & Talk
37
물가도 높은데… 오늘부터 LA 판매세 일제히 올라
Current Economy
125
2월 구인 규모 760만건…전월 대비 소폭 하락
Job & Work Life
152
‘저렴한 상품’ 시대 끝나… 고물가에 익숙해져야
Current Economy
159
트럼프 일가 비트코인에 깊숙이..장·차남, 채굴업체 출범
Current Economy
90
“75만달러면 아이비리그 보내준다”
College Life
112
한인 영주권자 “해외여행 가도 될까요?”
Talk & Talk
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