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렴한 상품’ 시대 끝나… 고물가에 익숙해져야
By 6pxxxxx Posted: 2025-04-01 10:49:03

▶ 공산품 가격 일제 급등
▶ 연준 목표치 2% 상회

▶ 관세로 수입품 가격↑
▶ 서민층 상황 계속 악화

 

트럼프 행정부의 무차별 관세정책으로 인해 미국 내 고물가가 고착될 것이라는 우려가 힘을 얻고 있다. [로이터]

 

 

미국에서 물가 안정에 일조했던 저렴한 공산품 시대가 막을 내리고 있다는 평가가 나왔다. 여기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에 따른 물가 상승의 우려도 커지고 있다.

월스트릿저널(WSJ)은 지난달 30일 미국에서 수십년간 안정세였던 상품 가격이 오르고 있으며 트럼프 관세가 추가적인 압박을 가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시간이 지날수록 물가가 오르는 게 일반적이지만, 2011년 말∼2019년 말 사이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내 근원 상품 물가(변동성이 큰 식품·에너지 제외)는 오히려 1.7% 떨어졌다.

경제 전반의 디플레이션은 악재이지만, CPI에서 20% 정도 비중을 차지하는 근원 상품 등 특정 영역의 물가 하락은 소비자 부담을 덜어주는 요인이 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기술·생산성 향상 덕분이며, 2001년 중국의 세계무역기구(WTO) 체제 편입 이후 값싼 중국 공산품의 미국 시장 유입도 한몫했다. 같은 기간 주거·보건·교육을 비롯한 근원 서비스 물가가 연 2.7% 오르면서, 둘을 합친 근원 인플레이션은 연 2% 수준을 유지했다.


하지만 코로나19 팬데믹 확산 이후 상황은 바뀌었다. 코로나19 여파 속에 상품 물가는 2023년 여름 고점을 찍고 12개월간 내림세를 그렸지만 근원 상품 물가는 지난해 9월 다시 월 0.1% 정도씩 오르기 시작했다는 게 WSJ 설명이다.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FRB·연준)의 제롬 파월 의장은 이번 달 기준금리 동결 후 기자회견에서 “평균적으로 0%에 가까웠던 상품 인플레이션 지표가 높은 상황”이라면서 관세 및 다른 요인이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봤다. 리서치업체 TS롬바드의 스티븐 블리츠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최근 상품 물가 지표를 보면 2010년대와 같은 디플레이션 충격이 없을 것임을 알 수 있다”면서 올해 인플레이션이 연준 목표치인 2%보다 높은 3% 정도 될 것으로 예상했다.

연준이 주시하는 개인소비지출(PCE) 지표를 보면 근원 인플레이션은 2.6∼3%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WSJ은 수입 물가가 더 이상 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이 수입 물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에 20% 추가 관세를, 철강·알루미늄에 25%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국가별 상호관세와 자동차 등 품목별 관세를 줄줄이 예고한 상태다. 투자은행 골드만삭스 이코노미스트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2월 2.8%였던 근원 PCE 상승률이 연내 3% 정도로 올라갈 것으로 봤다. 리치먼드 연방준비은행(연은)과 애틀랜타 연은, 듀크대 등이 공동으로 기업 최고재무책임자(CFO) 400명을 조사해 지난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현재 멕시코·캐나다·중국에서 물품을 수입하지 않는 기업들은 올해 물가 상승률을 2.9%로 봤다. 이들 국가에 대한 수입 의존도가 높은 기업들은 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5.1%로 높게 잡았다.

JP모건의 브루스 카스만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세계적인 상품 가격 하락 요인이 없다면 연준이 물가 목표 달성을 위해 기준금리 인상 등으로 수요를 더 억제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여기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도 인플레이션 상승의 주요 요인으로 자리잡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미 지난 12일부터 철강·알루미늄에 대한 25% 관세를 부과 중인 가운데 내달 3일부터는 자동차와 자동차 핵심부품에도 25%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며 반도체, 의약품 등의 품목에 대해서도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방침을 이미 천명했다.

 

 

 

출처 : 미주한국일보

 

Title View
[공지] 취업 전에 안보면 무조건 후회하는 영상
09/03/2024
[공지] Part-time 게시판 공지사항
02/12/2021
中, 美와 美동맹국과 경제 단절땐 GDP 최대 51% 타격...복원 불능
Current Economy
1078
대한항공, ‘5성 항공사’ 5년연속 선정
Travel & Food
905
치솟는 ‘금란’ 가격 올해 41% 더 상승
Current Economy
981
물가상승 속 경기침체 ‘S공포’ 신호?
Current Economy
163
양극화 현상 심화… 10%가 소비의 절반 차지
Current Economy
206
“원·달러 환율 안정” 2분기 1,400원 초반
Current Economy
167
실업수당 신청 올해 최다… 공무원 감원 등 여파
Job & Work Life
794
‘에어프레미아’ 미주노선 무더기 결항·지연 사태
Travel & Food
505
커버드 CA 가입자 ‘사상 최대’
Talk & Talk
568
美 10년만에 홍역 사망 발생… ‘백신회의론’ 장관 “드문일 아냐”
Talk & Talk
552
‘고물가’에 지친 미국인들… “팁 안준다”
Talk & Talk
424
美 4분기 성장률 2.3%, 연간 성장률 2.8%…견조한 성장세 유지
Life in U.S.
322
‘공무원 칼바람’에 지난주 신규 실업수당 청구 올해들어 최다
Job & Work Life
928
트럼프, 이번엔 EU에 25% 관세 발표
Current Economy
105
연방정부, 계란값 안정에 10억달러 긴급 투입
Travel & Food
469
미 최대 디자인·건축 박람회 라스베가스 개막
Talk & Talk
114
한인 요식업체 노동법 위반 피소
Job & Work Life
779
트럼프 행정부, 트랜스젠더 선수 비자발급 영구금지 추진
Talk & Talk
517
애플, AI인텔리전스 한국어 지원
Talk & Talk
590
중국 밀어내기식 저가 수출 더는 못 참아
Current Economy
561
라인호텔 ‘디폴트’… 한인 EB-5(투자이민) 투자자들 ‘불안’
Talk & Talk
526
리얼 아이디 지금 받아놓으세요
Talk & Talk
920
500만달러 내면 영주권 판매… 시민권도 허용
Talk & Talk
359
LA지역 박물관 ‘무료 입장’ 3월16일 하루 30여곳 실시
Travel & Food
644
업무내역 제출… 안하면 사임 간주
Talk & Talk
452
미, 중국상선 입항 때마다 거액 징수
Current Economy
393
치솟는 주택보험 12~15% 또 오른다
Talk & Talk
691
기업 활동까지 위축… 트럼프 관세 ‘S 공포’ 확산
Current Economy
939
트럼프발 변수에 ‘뉴 골드러시’
Current Economy
663
트럼프, “관세 늘면 소득세 없앨 수도”
Current Economy
733
인플레 재점화하나?… 트럼프 “최소 몇 달 걸려”
Current Economy
570
4개 분기 연속 매출감소 스타벅스 1천100명 감원…매장직원 제외
Job & Work Life
638
“물가 상승도 버거운데 세일즈 택스까지…”
Current Economy
471
국세청(IRS) 직원 오늘부터 6천여명 해고
Job & Work Life
1122
중, ‘딥시크’ 돌풍 속… 세계는 ‘차단 vs 허용’
Talk & Talk
5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