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는 왜 \'관세 폭탄\' 투척하며 민주당 상징 루스벨트 소환했나
By qyrxxxx Posted: 2025-04-03 11:56:20

2일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워싱턴 DC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각국에 상호 관세를 시행한다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하고 있다.
/EPA 연합뉴스

2일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워싱턴 DC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각국에 상호 관세를 시행한다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하고 있다. /EPA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2일 예고대로 세계 각국을 겨냥한 상호 관세 조치를 발표하며 한 전직 대통령을 소환했다.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연설 도중 경사로가 설치된 계단을 가리키며 “이 계단을 올라갈 때마다 ‘FDR’을 떠올리게 된다”고 했다. FDR는 1933년부터 1945년까지 재임한 32대 프랭클린 D 루스벨트 전 대통령의 영어 이니셜이다. 트럼프는 그동안 초대 조지 워싱턴, 미국 국토를 대폭 확장한 7대 앤드루 잭슨, 공화당 전성시대를 연 40대 로널드 레이건 등을 존경하는 전임자들로 꼽으며 이들의 초상화를 자신의 집무실에 걸었다.

 

루스벨트는 대공황과 2차 대전 등 미국이 처했던 위기를 극복한 지도자로 추앙받고 있다. 하지만 민주당을 상징하는 정치인인 데다, 국가가 나서 서민들의 삶을 돌보는 뉴딜정책 등 진보 색채가 짙은 그의 사회·경제정책은 트럼프 행정부·공화당의 이념과는 거리가 있다. 그런데 왜 이날 트럼프는 루스벨트를 언급했을까.

 

그가 취임 초부터 강력하게 밀어붙이고 있는 상호 관세가 루스벨트의 정책이기도 하다는 점을 부각해 당위성을 강조하려는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실제 루스벨트는 미국의 대외 경제정책에서 상호 관세 개념을 선도적으로 도입한 대통령으로 꼽힌다. 대공황 여파 속에서 백악관에 들어간 그는 취임 2년째이던 1934년 대공황 타개책 중의 하나로 ‘상호무역법(RTAA)’을 제정했다. 이 법은 대통령에게 개별 국가와 양자 무역 협정을 맺을 수 있는 권한을 부여했다. 하지만 이 법은 상대국이 관세율을 낮추면 미국 또한 상대국에 대한 관세를 낮춰 수출과 수입을 늘리는 용도로 적용됐다. 같은 상호 관세라지만 트럼프의 의도와는 정반대였다. 이런 세밀한 속사정과 무관하게 트럼프가 자신의 상호 관세는 루스벨트도 도입했던 것이라는 인식을 심으려 했다는 것이다.

 

루스벨트가 미국 역사상 유일한 4선 대통령이라는 점도 최근 트럼프가 그를 언급한 이유로 꼽힌다. 트럼프는 최근 TV 인터뷰에서 3선 도전 가능성에 대해 “농담이 아니다”라고 말하는 등 권력 연장에 대한 관심을 드러내고 있다. 초대 조지 워싱턴 이래 역대 미국 대통령의 임기는 두 번을 넘지 않았다. 명시적인 규정은 없었지만 마땅히 지켜야 할 불문율로 인식됐다. 하지만 이 불문율이 루스벨트 때 깨졌다. 대공황과 2차 대전 등 격변 속에서 안정된 리더십이 필요하다는 강한 여론이 형성되자 민주당은 관례를 깨고 그를 3선·4선 대통령 후보로 올려 결국 당선시켰다.

 

루스벨트는 4선 고지에 오른 1945년에 세상을 떠났다. 이후 후임인 해리 트루먼 대통령 시절인 1951년에 수정헌법 22조를 제정해 대통령 임기가 두 번을 넘지 않도록 법제화했다. ‘국민이 원하면 규정을 고쳐서라도 임기를 연장한다’는 서사가 필요한 트럼프에게 루스벨트는 좋은 사례가 될 수 있다.

 

형사 사건 기소 등 사법 리스크와 암살 시도 등 위기를 극복하고 백악관에 재입성한 트럼프가 루스벨트의 삶을 자신과 동일시할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루스벨트는 부통령으로 출마했다 패배한 이듬해인 1921년 소아마비를 앓으면서 평생 휠체어에 의존해야 하는 장애를 입었다. 그럼에도 11년 뒤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했고, 대공황과 2차 대전 등의 위기 극복을 지휘했다. 트럼프와 루스벨트는 모두 뉴욕주의 부유한 집안 출신이라는 공통점도 있다.

 

 

출처 : 조선일보

Title View
[공지] 취업 전에 안보면 무조건 후회하는 영상
09/03/2024
[공지] Part-time 게시판 공지사항
02/12/2021
트럼프 복귀에 불안 “시민권 따자” 급증
Talk & Talk
2182
엔비디아 대항마 AMD 직원 4% 감축…1천명 수준 예상
Job & Work Life
2238
원·달러 환율 1,400원 뚫었다… 뉴노멀된 ‘킹달러’
Current Economy
1954
아마존, 초저가 상품 판매 웹스토어 오픈…테무·쉬인에 ‘맞짱’
Talk & Talk
1959
‘연일 신기록’ 비트코인, 9만3천달러선 돌파 후 반락
Talk & Talk
2189
헤그세스·왈츠·밴스… 중동서 싸운 젊은 참전용사들이 美 이끈다
Talk & Talk
2189
‘트럼프 효과’ 날개 단 가상화폐…‘역대급 상승세’
Current Economy
2426
\"연봉 4억!\" 파운드리 인재 구하는 삼성
Job & Work Life
2446
빅테크들 \"AI 특성에 브랜드 가치를 담아라\"… 아이콘 개발 박차
Talk & Talk
2133
머스크와 \'악연\'… 올트먼, 美 대선 \'최대 패배자\' 될까
Talk & Talk
2242
비트코인, 고공행진 지속…8만4천 달러선 첫 돌파
Current Economy
2146
미 우선주의 한국차 ‘겹악재’… 관세 인상땐 수출차질
Current Economy
2294
신규실업수당 청구 22만건… 전망치 소폭 상회
Job & Work Life
2276
LA 새 랜드마크 \'LACMA\' 준공 눈앞
Travel & Food
2318
IRS, 내년 표준공제·과세소득 기준 발표
Tax & Salary
2907
[기준금리 인하 배경·전망] 연준 지속적 인하 기조 확인… 인플레 완화 반영
Current Economy
2363
“과거 같은 제로금리 시대 이제 종말”
Current Economy
2160
전국 주의회서도 한인 정치인들 대거 당선 ‘약진’
Talk & Talk
2205
트럼프 “불법이민자 대규모 추방 불가피”
Talk & Talk
1981
대선 후 첫 결정, 美 연준 기준금리 0.25%포인트 인하
Current Economy
2404
[트럼프 재집권] “당장 추방”…반이민 물결 지구촌 뒤덮나
Talk & Talk
1638
“연준, 11·12월 0.25%p 금리 인하”
Current Economy
1686
‘트럼프노믹스 시즌2’… 우선주의·보호무역 강화
Current Economy
1740
축구장 7800개 면적 태운 불지옥... 美캘리포니아 휩쓴 대형 산불
Talk & Talk
1958
삼성전자·하이닉스, 9조5000억원 규모 반도체 보조금 못 받나
Current Economy
1316
‘떼강도 타겟’ 세븐일레븐… 매장 대거 폐쇄
Talk & Talk
1767
‘구글 플라이트’ 기능 강화
Travel & Food
2113
농심, 대한항공 전용 ‘신라면 AIR’ 출시
Travel & Food
1650
내년 차 보험 커버리지 한도 ‘껑충’
Talk & Talk
1941
트럼프 대선 압승… 첫 한인 상원의원 탄생 \'쾌거\'
Talk & Talk
1987
4년 만에 다시 트럼프 시대... 美 우선주의 더 강해진다
Talk & Talk
2051
막말·성추문, 두 번의 탄핵소추, 대선 불복에도… 다시 백악관으로
Talk & Talk
2326
방탄조끼·드론·저격수까지… 백악관·의사당 주변도 펜스
Talk & Talk
1756
미친 주택값에 시장서 밀려난 젊은층
Talk & Talk
1785
보잉, 이달부터 전체 직원 10% 감원
Job & Work Life
2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