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워싱턴 DC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각국에 상호 관세를 시행한다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하고 있다. /EPA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2일 예고대로 세계 각국을 겨냥한 상호 관세 조치를 발표하며 한 전직 대통령을 소환했다.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연설 도중 경사로가 설치된 계단을 가리키며 “이 계단을 올라갈 때마다 ‘FDR’을 떠올리게 된다”고 했다. FDR는 1933년부터 1945년까지 재임한 32대 프랭클린 D 루스벨트 전 대통령의 영어 이니셜이다. 트럼프는 그동안 초대 조지 워싱턴, 미국 국토를 대폭 확장한 7대 앤드루 잭슨, 공화당 전성시대를 연 40대 로널드 레이건 등을 존경하는 전임자들로 꼽으며 이들의 초상화를 자신의 집무실에 걸었다.
루스벨트는 대공황과 2차 대전 등 미국이 처했던 위기를 극복한 지도자로 추앙받고 있다. 하지만 민주당을 상징하는 정치인인 데다, 국가가 나서 서민들의 삶을 돌보는 뉴딜정책 등 진보 색채가 짙은 그의 사회·경제정책은 트럼프 행정부·공화당의 이념과는 거리가 있다. 그런데 왜 이날 트럼프는 루스벨트를 언급했을까.
그가 취임 초부터 강력하게 밀어붙이고 있는 상호 관세가 루스벨트의 정책이기도 하다는 점을 부각해 당위성을 강조하려는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실제 루스벨트는 미국의 대외 경제정책에서 상호 관세 개념을 선도적으로 도입한 대통령으로 꼽힌다. 대공황 여파 속에서 백악관에 들어간 그는 취임 2년째이던 1934년 대공황 타개책 중의 하나로 ‘상호무역법(RTAA)’을 제정했다. 이 법은 대통령에게 개별 국가와 양자 무역 협정을 맺을 수 있는 권한을 부여했다. 하지만 이 법은 상대국이 관세율을 낮추면 미국 또한 상대국에 대한 관세를 낮춰 수출과 수입을 늘리는 용도로 적용됐다. 같은 상호 관세라지만 트럼프의 의도와는 정반대였다. 이런 세밀한 속사정과 무관하게 트럼프가 자신의 상호 관세는 루스벨트도 도입했던 것이라는 인식을 심으려 했다는 것이다.
루스벨트가 미국 역사상 유일한 4선 대통령이라는 점도 최근 트럼프가 그를 언급한 이유로 꼽힌다. 트럼프는 최근 TV 인터뷰에서 3선 도전 가능성에 대해 “농담이 아니다”라고 말하는 등 권력 연장에 대한 관심을 드러내고 있다. 초대 조지 워싱턴 이래 역대 미국 대통령의 임기는 두 번을 넘지 않았다. 명시적인 규정은 없었지만 마땅히 지켜야 할 불문율로 인식됐다. 하지만 이 불문율이 루스벨트 때 깨졌다. 대공황과 2차 대전 등 격변 속에서 안정된 리더십이 필요하다는 강한 여론이 형성되자 민주당은 관례를 깨고 그를 3선·4선 대통령 후보로 올려 결국 당선시켰다.
루스벨트는 4선 고지에 오른 1945년에 세상을 떠났다. 이후 후임인 해리 트루먼 대통령 시절인 1951년에 수정헌법 22조를 제정해 대통령 임기가 두 번을 넘지 않도록 법제화했다. ‘국민이 원하면 규정을 고쳐서라도 임기를 연장한다’는 서사가 필요한 트럼프에게 루스벨트는 좋은 사례가 될 수 있다.
형사 사건 기소 등 사법 리스크와 암살 시도 등 위기를 극복하고 백악관에 재입성한 트럼프가 루스벨트의 삶을 자신과 동일시할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루스벨트는 부통령으로 출마했다 패배한 이듬해인 1921년 소아마비를 앓으면서 평생 휠체어에 의존해야 하는 장애를 입었다. 그럼에도 11년 뒤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했고, 대공황과 2차 대전 등의 위기 극복을 지휘했다. 트럼프와 루스벨트는 모두 뉴욕주의 부유한 집안 출신이라는 공통점도 있다.
출처 : 조선일보
|
||||||||||
Title | View |
취업 전에 안보면 무조건 후회하는 영상
|
09/03/2024 |
Part-time 게시판 공지사항
|
02/12/2021 |
해리스 경제정책은…바이든 기조유지 속 노동자·중산층에 방점
Talk & Talk
|
2384 |
화려한 지구촌 대축제… 센강 수놓을 수상개회식 ‘주목’
Talk & Talk
|
2358 |
H마트, 당일 배달 서비스 시작
Travel & Food
|
2338 |
반도체 업계, 인재확보 경쟁 가열
Job & Work Life
|
3077 |
IT 보안회사가 공개한 전산 대란 배경 \"내부 검증 테스트에 문제\"
Talk & Talk
|
2263 |
이더리움 현물ETF 승인…SEC, “오늘부터 거래”
Talk & Talk
|
2327 |
美 화장품 전시회서 한국관만 \'텅\'... 물품 컨테이너 통째 도둑 맞았다
Talk & Talk
|
2480 |
서울의 디자인 자산 및 디자인 정책을 담아낸 책자 3권 발간 소식 소개
Talk & Talk
|
2385 |
미국 경제 향후 성장세 둔화되나
Talk & Talk
|
2579 |
2주 이상 실업수당 청구…2년7개월만에 최고 수준
Job & Work Life
|
3459 |
“최악의 글로벌 IT 대란 정상화까지 몇주 걸릴 수도”
Talk & Talk
|
2483 |
삼성 갤럭시, 올림픽을 찍는다
Talk & Talk
|
2462 |
아이폰도 결국 ‘접는다’… 애플 폴더폰 2026년 출격
Talk & Talk
|
2098 |
한국 갈비 사러 ‘트레이더 조’에 간다
Travel & Food
|
2141 |
연준 인사 “기준금리 인하 타당한 시기 점점 가까워져”
Current Economy
|
2253 |
소비자들 지갑 연다… 금리 인하 ‘청신호’
Current Economy
|
2273 |
LA 폐수 속 코로나 수치 급등
Live Updates (COVID-19, etc.)
|
2101 |
극심 폭염 미 경제 흔든다…“연 $1천억 피해”
Current Economy
|
2000 |
나사가 달 착륙 음모론 영화에도 지원한 이유는?
Talk & Talk
|
2060 |
“위기의 삼성전자, SK하이닉스에 인력 뺏길 위험”
Talk & Talk
|
1808 |
한국 운전면허 있으면 켄터키주 면허 시험 없이 취득
Talk & Talk
|
2096 |
가족·취업이민 대부분 ‘제자리’
Visa,Green Card,Citizenship
|
2707 |
“여행 온 김에 그냥 눌러살까?”… 베트남이 1위
Travel & Food
|
2212 |
모기지 금리도 6%대로
Current Economy
|
1974 |
‘끈끈한 인플레’ 꺾였다…“올 3회 금리인하” 기대도
Current Economy
|
1993 |
대선 불확실성 확대… 금·달러 안전자산 상승 촉발하나
Current Economy
|
2347 |
식료품 가격 인상에 뿔난 소비자들 지갑 닫았다
Current Economy
|
1734 |
“한국인 전용 취업비자 만들라”
Visa,Green Card,Citizenship
|
3004 |
KITA, ‘캘리포니아 한국기업협회’로 변경
Talk & Talk
|
1908 |
트위터 해고자 소송 패소…퇴직금 등 5억달러 요구
Job & Work Life
|
2967 |
신규 실업보험 청구 1만7,000명 감소
Job & Work Life
|
2551 |
인플레 드디어 잡혔다…소비자물가 3.0% 둔화
Current Economy
|
2713 |
쓰레기 얼음 산 된 에베레스트… \"캠프 한 곳에만 50t 쌓였다\"
Travel & Food
|
3613 |
파월 \"금리, 빨리 내려도 문제지만...너무 늦어도 경제 약화\"
Current Economy
|
4091 |
원·달러 환율 상승세…1,380원대 다시 올라
Current Economy
|
2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