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는 왜 \'관세 폭탄\' 투척하며 민주당 상징 루스벨트 소환했나
By qyrxxxx Posted: 2025-04-03 11:56:20

2일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워싱턴 DC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각국에 상호 관세를 시행한다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하고 있다.
/EPA 연합뉴스

2일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워싱턴 DC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각국에 상호 관세를 시행한다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하고 있다. /EPA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2일 예고대로 세계 각국을 겨냥한 상호 관세 조치를 발표하며 한 전직 대통령을 소환했다.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연설 도중 경사로가 설치된 계단을 가리키며 “이 계단을 올라갈 때마다 ‘FDR’을 떠올리게 된다”고 했다. FDR는 1933년부터 1945년까지 재임한 32대 프랭클린 D 루스벨트 전 대통령의 영어 이니셜이다. 트럼프는 그동안 초대 조지 워싱턴, 미국 국토를 대폭 확장한 7대 앤드루 잭슨, 공화당 전성시대를 연 40대 로널드 레이건 등을 존경하는 전임자들로 꼽으며 이들의 초상화를 자신의 집무실에 걸었다.

 

루스벨트는 대공황과 2차 대전 등 미국이 처했던 위기를 극복한 지도자로 추앙받고 있다. 하지만 민주당을 상징하는 정치인인 데다, 국가가 나서 서민들의 삶을 돌보는 뉴딜정책 등 진보 색채가 짙은 그의 사회·경제정책은 트럼프 행정부·공화당의 이념과는 거리가 있다. 그런데 왜 이날 트럼프는 루스벨트를 언급했을까.

 

그가 취임 초부터 강력하게 밀어붙이고 있는 상호 관세가 루스벨트의 정책이기도 하다는 점을 부각해 당위성을 강조하려는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실제 루스벨트는 미국의 대외 경제정책에서 상호 관세 개념을 선도적으로 도입한 대통령으로 꼽힌다. 대공황 여파 속에서 백악관에 들어간 그는 취임 2년째이던 1934년 대공황 타개책 중의 하나로 ‘상호무역법(RTAA)’을 제정했다. 이 법은 대통령에게 개별 국가와 양자 무역 협정을 맺을 수 있는 권한을 부여했다. 하지만 이 법은 상대국이 관세율을 낮추면 미국 또한 상대국에 대한 관세를 낮춰 수출과 수입을 늘리는 용도로 적용됐다. 같은 상호 관세라지만 트럼프의 의도와는 정반대였다. 이런 세밀한 속사정과 무관하게 트럼프가 자신의 상호 관세는 루스벨트도 도입했던 것이라는 인식을 심으려 했다는 것이다.

 

루스벨트가 미국 역사상 유일한 4선 대통령이라는 점도 최근 트럼프가 그를 언급한 이유로 꼽힌다. 트럼프는 최근 TV 인터뷰에서 3선 도전 가능성에 대해 “농담이 아니다”라고 말하는 등 권력 연장에 대한 관심을 드러내고 있다. 초대 조지 워싱턴 이래 역대 미국 대통령의 임기는 두 번을 넘지 않았다. 명시적인 규정은 없었지만 마땅히 지켜야 할 불문율로 인식됐다. 하지만 이 불문율이 루스벨트 때 깨졌다. 대공황과 2차 대전 등 격변 속에서 안정된 리더십이 필요하다는 강한 여론이 형성되자 민주당은 관례를 깨고 그를 3선·4선 대통령 후보로 올려 결국 당선시켰다.

 

루스벨트는 4선 고지에 오른 1945년에 세상을 떠났다. 이후 후임인 해리 트루먼 대통령 시절인 1951년에 수정헌법 22조를 제정해 대통령 임기가 두 번을 넘지 않도록 법제화했다. ‘국민이 원하면 규정을 고쳐서라도 임기를 연장한다’는 서사가 필요한 트럼프에게 루스벨트는 좋은 사례가 될 수 있다.

 

형사 사건 기소 등 사법 리스크와 암살 시도 등 위기를 극복하고 백악관에 재입성한 트럼프가 루스벨트의 삶을 자신과 동일시할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루스벨트는 부통령으로 출마했다 패배한 이듬해인 1921년 소아마비를 앓으면서 평생 휠체어에 의존해야 하는 장애를 입었다. 그럼에도 11년 뒤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했고, 대공황과 2차 대전 등의 위기 극복을 지휘했다. 트럼프와 루스벨트는 모두 뉴욕주의 부유한 집안 출신이라는 공통점도 있다.

 

 

출처 : 조선일보

Title View
[공지] 취업 전에 안보면 무조건 후회하는 영상
09/03/2024
[공지] Part-time 게시판 공지사항
02/12/2021
내 집 장만한 아시안, 5명중 3명 역대 최고
Talk & Talk
863
한국 \'편저트\' LA한인마켓 진출
Travel & Food
3195
지반 불안 PV 비상사태…남가주 침수·산사태
Talk & Talk
1609
모기지 금리 지속적 하락, 연말 5%대로
Talk & Talk
1443
100대 소수계 기업…한인 7개
Talk & Talk
1564
“다시 실리콘밸리로”… AI 열풍 ‘컴백’
Job & Work Life
5221
한국, 3년 연속 미국산 소고기 최대 수입국
Talk & Talk
2956
원성 높은 식당 ‘정크 수수료’… 가주 7월부터 금지
Talk & Talk
1428
한인 유권자 21만 명… 참여해야 ‘캐스팅 보트’ 파워
Talk & Talk
3881
\"테슬라 사이버트럭, 두 달 만에 녹슨 자국\"…일부 차주 불만
Talk & Talk
1987
“거봐, 미국 침체 안오잖아”…이건 ‘월가황소’ 착각이다
Talk & Talk
2105
유가급등 막은 미국 셰일 오일 붐 \'시들\'…\"성장 가능성 사라져\"
Talk & Talk
3307
LP 이어 VHS테이프도 뜬다
Talk & Talk
2028
IRS, 세금 미납 370만명에 추징 서한 발송
Work in U.S.
2938
중국계 밀입국 사상 최다 대부분 “돈 벌러 미국행”
Talk & Talk
3052
LA 1년 2992불인데…자동차 보험 또 오른다
Talk & Talk
2411
폭우에 “땅이 열리고 있다” 대피 경고
Talk & Talk
1175
민간 첫 달착륙선 발사 성공 ‘순항중’
Talk & Talk
5430
‘인공지능 이용 페이스북 사기’ 기승…“목소리·얼굴 똑같아 속기 십상”
Talk & Talk
2623
여름밤의 할리웃보울…‘헨리 맨시니’ 선율에 물든다
Travel & Food
6885
“팬데믹 이후 젊은층 자산증가율 최고”
Talk & Talk
3865
신규 실업수당 청구 21만2,000건
Job & Work Life
3601
1월 소매판매 7,003억달러… 전월대비 0.8% 하락
Talk & Talk
3535
‘가주 세대 15%만 주택구입 재정능력 갖춰’
Talk & Talk
2825
소주 \'새로\' 고객감사 행사…2~3월 코리아타운플라자
Talk & Talk
4875
올스테이트 자동차 보험 신규 가입 재개…가주, 요율 30% 인상 승인
Talk & Talk
3120
구금시설 운영 예산 부족…이민자 수천명 조기석방
Talk & Talk
2812
한국 콘텐츠 불법 사이트 강제 폐쇄령…코코아TV, 미주에서 무단 유통
Talk & Talk
3653
집에서 일하는 미국인…소비도 출산율도 ‘홈런’
Job & Work Life
4187
“기대 못 미친 평년작”… 매직쇼·어패럴쇼 오늘 폐막
Talk & Talk
1872
국경 위기인데… 불체자 수천명 풀어줄 판
Talk & Talk
2239
배스 시장, 잇단 중용…‘한인파워’ 거세다
Talk & Talk
2531
미국 입국 거부 2배 늘었다
Talk & Talk
3172
우편투표 시작됐다 한인 2천여명 완료
Talk & Talk
2233
나츠베리팜 2000명 채용…17·20~24일 \'구인 행사\'
Job & Work Life
62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