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방 국가사적지 공식 등재
▶“한미 외교 현장 잘 보존”
▶ 자주외교 노력 가치 인정
▶한국 정부 건물로는 처음
대한제국이 펼친 자주외교 노력이 깃든 공간인 주미대한제국공사관이 미국에서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았다. 국가유산청과 국외소재문화유산재단은 워싱턴 DC에 있는 주미대한제국공사관이 연방정부 국가사적지(NRHP·National Register of Historic Places)로 공식 등재됐다고 11일 밝혔다.
공식 지정 명칭은 ‘옛 대한제국공사관’(Old Korean Legation)이다. 국가사적지는 한국의 국가유산(옛 ‘문화재’)과 유사한 제도로, 보존할 역사적 가치가 우수한 건물, 구조물, 장소 등을 법으로 지정한다. 한국 정부가 소유하고 한국의 역사가 중심이 되는 장소가 미국 국가사적지가 된 건 처음이다.
워싱턴 DC의 한국전쟁 참전용사 기념비가 국가사적지로 등재돼 있으나, 이곳은 한국전쟁에 참전한 미군의 역사를 기리는 의미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립공원관리청 측은 공사관의 역사적 가치를 높게 평가한 것으로 전해졌다.
국가유산청은 “워싱턴 DC에 설치된 한미 외교의 현장으로 미국의 역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장소라는 점이 건물의 핵심 가치로 인정됐다”고 설명했다. 또 “건물의 내·외부 모두 원형 보존 상태가 양호하고, 한국 정부의 주도로 진행된 복원 및 새 단장 공사로 역사적 공간이 훌륭히 재현한 점도 반영됐다”고 덧붙였다.
국가유산청은 공사관을 ‘K-공유유산’의 대표적인 사례로 널리 알린다는 방침이다. 공유유산은 2개 이상의 국가가 역사적·문화적 가치를 공유하는 유산으로, 해외에 있는 한국 관련 유산을 적극적으로 보존·관리·활용하고자 도입한 개념이다.
국가유산청과 재단은 올해 초부터 매월 두 번째 수요일과 토요일에 워싱턴 DC와 메릴랜드주, 버지니아주에 거주하는 동포를 대상으로 순환 버스를 운영하고 있다.
최근에는 민간 기업의 지원을 받아 공사관의 옛 모습을 담은 안내판도 설치했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미국 내 한국 관련 건물로서 미국 연방정부의 국가사적지가 된 것은 최초”라며 “미국의 연방 문화유산으로서의 새로운 법적 지위를 부여받은 것”이라고 강조했다.
주미대한제국공사관은 조선에서 대한제국으로 이어지던 시기 외교 무대의 중심이었다. 1877년 미국 남북전쟁에 참전한 군인 출신 정치인이자 외교관인 세스 펠프스(Seth L. Phelps)의 저택으로 지어진 이 건물은 백악관에서 약 1마일 거리에 있다.
공사관은 우리나라 역사상 최초로 서양 국가에 설치한 외교공관으로 특히 가치가 크다. 1882년 미국과 수호통상조약을 체결한 조선은 1887년 초대 주미전권공사인 박정양(1841∼1905)을 미국에 특파했고, 1889년 2월부터 현재 위치에서 주미공관을 설치했다. 이후 을사늑약으로 외교권을 잃은 1905년까지 약 16년간 이곳에서 외교 활동을 펼쳤다.
정부는 보수·복원공사를 거쳐 2018년 5월 역사전시관으로 개관해 운영 중이다. 19세기 워싱턴 DC에 있었던 30여 개국의 재외공관 가운데 당시 원형을 간직한 채 현재까지 남아있는 건물은 주미대한제국공사관이 유일하다고 국가유산청은 전했다.
출처 : 미주한국일보
|
||||||||||
Title | View |
취업 전에 안보면 무조건 후회하는 영상
|
09/03/2024 |
Part-time 게시판 공지사항
|
02/12/2021 |
도매물가 전월비 0.3%↑, 두 달 연속 1%선 하회
Talk & Talk
|
1172 |
5% 넘는 금리에…‘머니마켓펀드’ 인기 폭발
Talk & Talk
|
1835 |
6월 무역적자 655억달러 전월 대비 4.1% 감소
Talk & Talk
|
1769 |
가주, 첫 무인택시 영업 허가
Talk & Talk
|
1373 |
폭풍우 피해 최악… 보험 지급 340억달러
Talk & Talk
|
2051 |
‘오피스 빌딩의 굴욕’… 사상 첫 사무실 공간 감소
Job & Work Life
|
1172 |
UPS 택배기사 연봉 17만불…일자리 검색량 50% 증가
Job & Work Life
|
1870 |
‘모기지 7%’…월페이먼트 작년대비 20% 증가
Talk & Talk
|
1226 |
주택보험 대란…이젠 드론 촬영해 가입 해지
Talk & Talk
|
3137 |
“보안요원보다 더 센 클래식 음악”
Talk & Talk
|
985 |
실업수당 청구 2주 연속↑, 2만1,000건 증가, 25만건
Job & Work Life
|
1630 |
기업공개,‘지금이 기회’ 투자자들로 활기
Job & Work Life
|
1095 |
금융사기 피해 88억달러…‘사상 최고’
Talk & Talk
|
1022 |
아마존,“의무적으로 주3회 출근하라”
Job & Work Life
|
694 |
남가주 관광·공공채용 회복… 일자리 40만개 증가
Job & Work Life
|
2459 |
‘공유경제 신화’ 위워크, 파산 직면
Talk & Talk
|
1414 |
황당한 주택보험 가입/갱신 거부 사례 증가
Talk & Talk
|
2897 |
연방정부 2000만불 걸고 AI로 SW 약점 찾기 대회
Talk & Talk
|
1329 |
무더위에 지쳤다면…로키산맥으로 떠나라
Travel & Food
|
3000 |
전망 밑돈 물가 상승…힘 실리는 금리동결
Talk & Talk
|
1169 |
식당 주류영업 절차 간소화 지역 확대…다운타운·이스트LA 등도 가능
Job & Work Life
|
1343 |
마일리지 한도, 항공료의 20 →30%…대한항공, 확대 방안 발표
Talk & Talk
|
1752 |
저가 스트리밍 종말…구독료 55%까지 상승
Talk & Talk
|
1637 |
코치, 베르사체 모회사 카프리 홀딩스 11조원에 인수
Talk & Talk
|
1135 |
자동차 수리비마저…31.1%나 올랐다
Talk & Talk
|
1849 |
유학·취업 다시 몰린다…비자 발급건 팬데믹 이전 회복
Visa,Green Card,Citizenship
|
2946 |
호텔 종사자 최저임금 2배 인상 논의…LA카운티 16.9 →25불 검토
Tax & Salary
|
1447 |
한국 직구족 차단…닷컴 입력해도 한국 사이트로
Talk & Talk
|
2027 |
한국 기업들 “취업비자 확대 필요”
Visa,Green Card,Citizenship
|
1970 |
호텔 근로자 시급 25달러?…“그럼 우리도 올려줘”
Tax & Salary
|
1859 |
연준, 암호화폐·블록체인 새 감독체계 확정
Talk & Talk
|
1716 |
코로나 재확산 ‘경고’
Live Updates (COVID-19, etc.)
|
2405 |
바이든 \"美안보 위협\"…AI·반도체 등 대중국 투자 전면 통제
Talk & Talk
|
1343 |
보수 대법도 돌아섰다…45만원이면 뚝딱, 美 흔드는 \'유령총\'
Talk & Talk
|
1634 |
영주권 문호 정체, 9월도 대부분 동결
Visa,Green Card,Citizenship
|
2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