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는 왜 \'관세 폭탄\' 투척하며 민주당 상징 루스벨트 소환했나
By qyrxxxx Posted: 2025-04-03 11:56:20

2일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워싱턴 DC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각국에 상호 관세를 시행한다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하고 있다.
/EPA 연합뉴스

2일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워싱턴 DC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각국에 상호 관세를 시행한다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하고 있다. /EPA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2일 예고대로 세계 각국을 겨냥한 상호 관세 조치를 발표하며 한 전직 대통령을 소환했다.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연설 도중 경사로가 설치된 계단을 가리키며 “이 계단을 올라갈 때마다 ‘FDR’을 떠올리게 된다”고 했다. FDR는 1933년부터 1945년까지 재임한 32대 프랭클린 D 루스벨트 전 대통령의 영어 이니셜이다. 트럼프는 그동안 초대 조지 워싱턴, 미국 국토를 대폭 확장한 7대 앤드루 잭슨, 공화당 전성시대를 연 40대 로널드 레이건 등을 존경하는 전임자들로 꼽으며 이들의 초상화를 자신의 집무실에 걸었다.

 

루스벨트는 대공황과 2차 대전 등 미국이 처했던 위기를 극복한 지도자로 추앙받고 있다. 하지만 민주당을 상징하는 정치인인 데다, 국가가 나서 서민들의 삶을 돌보는 뉴딜정책 등 진보 색채가 짙은 그의 사회·경제정책은 트럼프 행정부·공화당의 이념과는 거리가 있다. 그런데 왜 이날 트럼프는 루스벨트를 언급했을까.

 

그가 취임 초부터 강력하게 밀어붙이고 있는 상호 관세가 루스벨트의 정책이기도 하다는 점을 부각해 당위성을 강조하려는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실제 루스벨트는 미국의 대외 경제정책에서 상호 관세 개념을 선도적으로 도입한 대통령으로 꼽힌다. 대공황 여파 속에서 백악관에 들어간 그는 취임 2년째이던 1934년 대공황 타개책 중의 하나로 ‘상호무역법(RTAA)’을 제정했다. 이 법은 대통령에게 개별 국가와 양자 무역 협정을 맺을 수 있는 권한을 부여했다. 하지만 이 법은 상대국이 관세율을 낮추면 미국 또한 상대국에 대한 관세를 낮춰 수출과 수입을 늘리는 용도로 적용됐다. 같은 상호 관세라지만 트럼프의 의도와는 정반대였다. 이런 세밀한 속사정과 무관하게 트럼프가 자신의 상호 관세는 루스벨트도 도입했던 것이라는 인식을 심으려 했다는 것이다.

 

루스벨트가 미국 역사상 유일한 4선 대통령이라는 점도 최근 트럼프가 그를 언급한 이유로 꼽힌다. 트럼프는 최근 TV 인터뷰에서 3선 도전 가능성에 대해 “농담이 아니다”라고 말하는 등 권력 연장에 대한 관심을 드러내고 있다. 초대 조지 워싱턴 이래 역대 미국 대통령의 임기는 두 번을 넘지 않았다. 명시적인 규정은 없었지만 마땅히 지켜야 할 불문율로 인식됐다. 하지만 이 불문율이 루스벨트 때 깨졌다. 대공황과 2차 대전 등 격변 속에서 안정된 리더십이 필요하다는 강한 여론이 형성되자 민주당은 관례를 깨고 그를 3선·4선 대통령 후보로 올려 결국 당선시켰다.

 

루스벨트는 4선 고지에 오른 1945년에 세상을 떠났다. 이후 후임인 해리 트루먼 대통령 시절인 1951년에 수정헌법 22조를 제정해 대통령 임기가 두 번을 넘지 않도록 법제화했다. ‘국민이 원하면 규정을 고쳐서라도 임기를 연장한다’는 서사가 필요한 트럼프에게 루스벨트는 좋은 사례가 될 수 있다.

 

형사 사건 기소 등 사법 리스크와 암살 시도 등 위기를 극복하고 백악관에 재입성한 트럼프가 루스벨트의 삶을 자신과 동일시할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루스벨트는 부통령으로 출마했다 패배한 이듬해인 1921년 소아마비를 앓으면서 평생 휠체어에 의존해야 하는 장애를 입었다. 그럼에도 11년 뒤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했고, 대공황과 2차 대전 등의 위기 극복을 지휘했다. 트럼프와 루스벨트는 모두 뉴욕주의 부유한 집안 출신이라는 공통점도 있다.

 

 

출처 : 조선일보

Title View
[공지] 취업 전에 안보면 무조건 후회하는 영상
09/03/2024
[공지] Part-time 게시판 공지사항
02/12/2021
제주산 감귤 가공품 월마트에 상륙 전망…선키스트 브랜드로 시판
Travel & Food
2101
4년 전보다 80% 더 벌어야 집 장만…높은 모기지·신축 감소 영향
Talk & Talk
1906
하루 200만원에도 K-산후조리원 열풍…美엄마 4000명 줄섰다
Talk & Talk
1559
차고·옷장·다락방·지하실…뭐든 빌려줘요
Talk & Talk
1959
고용, 왜 이리 강한가 봤더니…이민자 덕
Job & Work Life
1987
한인여행업계 \"수퍼블룸 특수 잡아라\"
Travel & Food
2030
죽음의 \'美 만리장성\'…매일 1만명이 목숨 걸고 국경 넘는다
Talk & Talk
2182
미 하원서 ‘틱톡 금지법’ 통과
Talk & Talk
1897
가주 고용시장 ‘먹구름’… 일자리 둔화·실업자 증가
Job & Work Life
1402
‘세계 최고 갑부’… 이번엔 루이뷔통 회장
Talk & Talk
1545
소비자들, 고물가 지속 가능 우려
Talk & Talk
1665
2월 전국 신규 고용 28만건 ‘깜짝 증가’
Job & Work Life
2165
“아무것도 안 했는데… 수백달러 오른 렌트에 한숨”
Talk & Talk
1820
애나하임 교육구 교사 100명 일방적 해고 ‘발칵’
Job & Work Life
1733
한국 휴대전화 없어도 재외국민 본인인증 가능
Talk & Talk
1841
LA 실업률 5.4%…2년 만에 최고점
Job & Work Life
1378
16세 자녀 차보험 추가, 연 3212불 더 낸다
Talk & Talk
1533
메디케어 지원 늘리고 기업·부자들에 증세
Talk & Talk
1809
뉴욕 맨하탄 필라테스 강사 구인, 교육생 모집
Part Time Jobs
509
인구대국 급변… “美대학서 인도 유학생이 중국 출신 추월 직전”
College Life
263
유나이티드항공 왜 이러나…거의 매일 사고 ‘비상’
Travel & Food
266
스마트 TV용 앱 출시준비…머스크 X, 유튜브와 경쟁
Talk & Talk
291
크레딧 점수 717점… 11년 만에 하락
Talk & Talk
690
‘\'초단기 근로자’도 직원 처우 부당”
Job & Work Life
439
비트코인 사상 첫 7만달러 ‘터치’
Talk & Talk
245
한때 왕좌였는데… 애플 앞날 ‘첩첩산중’
Talk & Talk
2293
2월 9만명 해고… 2009년 금융위기 이후 최대
Job & Work Life
2288
\'AI반도체 거물\' 젠슨 황 \"나는 부모님의 꿈과 야망의 산물\"
Talk & Talk
1925
尹이 불지핀 \'항공 1마일\' 가치…대한항공 \'9500억 고민\'
Travel & Food
2460
주택시장 기지개…금리 내리고 매물 늘어
Talk & Talk
1968
\'오펜하이머\' 오스카 작품상까지 7관왕…놀런, 묵은 한 풀었다
Talk & Talk
2174
1년 은퇴 생활비 크루즈가 더 저렴
Talk & Talk
2388
LA서 4인 가구 ‘안락한 삶’에 28만불 필요
Talk & Talk
2313
초기 이민자 애환 서린 스왑밋이 저문다
Talk & Talk
2135
“첫 주택 구매자에 1만불 세액 공제”
Talk & Talk
2311